본문 바로가기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완전정복

jinyjina 2024. 1. 2.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달라지는 점이 많습니다. 그중 배우는 과목수가 늘어납니다. 1~2학년 때 총 4과목이었던 것이 총 9과목으로 늘어납니다.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도덕, 미술, 체육, 음악입니다. 내용이 급격히 어려워지지는 않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기 때문에 아이들 입장에서는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수학이나 영어는 가정에서 사교육이든, 엄마표를 통해서든 꾸준히 해오고 있어 크게 어려움은 없지만, 사회는 내용도 방대해서 아이들이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사회과목을 학원에 보낼 수는 없습니다. 오늘 사회과목을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초등 사회 공부방법

초등 사회는 3학년부터 시작합니다. 정치, 법, 사회문화, 경제, 지리 등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다룹니다. 사회는 국어, 영어, 수학과는 그 성격이 다릅니다. 다른 주요 과목들 처럼 특정한 한 과목의 내용을 기초부터 심화의 과정까지 깊이 있게 배우는 영역이 아닙니다. 다양한 지식을 두루 습득하는 과목이 바로 사회 과목입니다. 특히 사회라는 교과는 학생들이 이 사회를 살아가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지식과 기능을 익힐 수 있게 돕기 위한 과목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무척 다양하고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우선 해당 학년 교고의 내용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 됩니다. 어떤 내용을 다루더라도 교과서를 꼼꼼하게 정독해야 합니다. 

1. 밑줄치며 제대로 읽기

먼저 한 페이지씩 제대로 읽고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도 해보면서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시문 내용을 이해할 때는 단락별로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치면 됩니다. 외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과서 일부분 입니다. 어느 부분에 밑줄을 쳐야 할까요? 처음에는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몰라 다 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어려워한다면 괜찮습니다. 그냥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밑줄을 많이 쳐도 괜찮습니다. 익숙해지면 나중에는 진짜 중요한 부분들을 잘 찾을 수 있게 됩니다. 

 

2. 밑줄 친 부분에서 핵심어를 더 찾아보기

밑줄 친 부분을 더 간략하게 줄일 수 있는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핵심어가 어떤 것인지 찾는 훈련을 하다보면 두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오래 기억에 남고 정확하게 글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소비'라는 단어의 의미는 정확하게 무엇인지 각각 어떤 한자의 조합인지도 생각해 보면 좋습니다. 

 

3. 간단하게 소제목 적어보기

단락별로 간단하게 정리해서 한 단락 전체의 소주제를 적을 수 있습니다. 

 

위 글처럼 단락의 핵심 내용인 '희소성'을 소제목으로 달아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학습을 하면 한 페이지도 여러 개의 소주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4. 소주제만 보고 내용 기억하기

다 읽고 난 후에 소주제들만 보면서 내용을 기억해 보는 연습을 해 봅니다. 가능하다면 누군가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이해하면 더 좋습니다. 설명이 어렵다면 정리를 해서 적어 보아도 좋습니다. 핵심어 위주로 기억을 해서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단원이 끝나면 소주제별로 분류한 후 그 내용을 머리속에 정리하면서 적어보면 더 효과적인 학습법입니다. 

 

5. 암기까지 하고 싶다면, 소주제를 질문으로 바꾸고 답해 보기

 

위처럼 '희소성이란?'이라고 질문을 만들어 보고 그 문제에 답해보면서 암기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스스로 만든 문제를 풀다가 기억이 안 나는 부분은 체크해서 나중에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6. 어려운 어휘는 꼭 사전을 찾아 뜻을 확인해 보기

어려운 단어들은 꼭 사전을 찾아서 정확하게 뜻을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런 학습 방법들은 후에 고등학교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초등학교 때는 내용이 어렵진 않지만 위의 방법들을 습관화 한다면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도 사회 과목을 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댓글